반응형 전체 글26 블루투스의 구조: 프로토콜 스택 이해하기 블루투스의 구조: 복잡해 보이지만 알고 보면 단순한 이야기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블루투스 기술의 내부 구조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처음 보면 복잡해 보이지만, 하나씩 살펴보면 그리 어렵지 않답니다.블루투스의 구조, 어떻게 생겼을까?위 그림을 보면 블루투스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는 걸 볼 수 있어요.위쪽의 '상위 계층 스택'아래쪽의 '하위 계층 스택'이 두 부분이 함께 동작되면서 우리가 아는 블루투스 기능을 만들어내는 거죠.상위 계층 스택: 소프트웨어의 영역상위 계층은 'Bluetooth Host CPU'라고 써있는 부분이에요. 여기는 호스트엣허 주로 소프트웨어가 담당하는 영역이라고 보면 됩니다.1. HCI (Host Controller Interface)HCI는 말 그대로 '호스트와 블루투스 .. 2024. 7. 28. Bluetooth 블루투스 OOB 페어링 Bluetooth OOB 페어링: 더 안전하고 편리한 연결 방식블루투스 기술은 우리 일상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무선 통신 방식이 되었지만 초기 블루투스 페어링 과정은 보안 취약점과 사용자 불편을 야기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Bluetooth 규격에 OOB(Out of Band) 페어링이 도입되었습니다.OOB 페어링의 배경과 역사2007년 7월, Bluetooth Core Specification 2.1 + EDR 버전에서 OOB 페어링이 처음 소개되었습니다. 이는 기존 블루투스 신호 대신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초기 페어링 정보를 교환하는 혁신적인 방식이었습니다. 이후 2010년 Bluetooth 4.0에서 Low Energy (LE) 기술과 함께 OOB 개념이 확장되었고, 20.. 2024. 7. 26.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